1.스마트공장 보급 확산 및 스마트 공장 운영에 필요한 인력 양성 정책에 발 맞추어 지역 주력 산업인 기계 전자 자동차 부품 산업 특성에 맞는 고용 창출 및 인적 자원 인프라 구축
2.조직의 방침 및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제품, 업무, 서비스에 대한 품질기획(QP), 품질관리(QC), 품질보증(QA), 품질개선(QI) 활동을 할 수 있다.
3.품질 목표 및 성과 지표를 달성하기 위한 품질 전략 수립, 품질 전략 실행, 목표 모니터링 활동을 수행하는 능력 및 MiniTap을 활용한 품질 정보 분석 및 평가, 활용 능력을 함양
4.공정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중점 관리 항목 선정, 관리도 작성, 공정 능력 평가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을 함양
5.일상적인 현장 관리 활동 차원에서 품질 향상을 위해 3정5S, 눈으로 보는 관리, 자주 보전 활동을 수행하는 능력을 함양
6.품질 기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검사 체계를 정립, 품질 검사의 실시, 측정기를 관리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을 함양
7.협력사를 선정, 평가, 지원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을 함양
8.공정품질관리, 공정 관리 성과 지표, 공정 개선 업무 수행 능력 함양
9.품질 경영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정 조치, 품질경영 혁신 활동 체계를 정립, 혁신 활동을 전개하고 이에 대한 효과성을 평가하는 능력을 함양
10.품질경영의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해 품질 코스트 체계를 정립, 수집, 개선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을 함양
11.고객 만족을 보증하기 위해 품질 보증 체계를 정립, 운영하고 이에 대한 윻효성 평가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을 함양
12.품질 전략 실현을 위해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을 준비하여 품질 경영 시스템을 구축, 인증을 시행하는 능력을 함양
13.ERP 프로그램을 학습함으로써 업무의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또는 통합 시스템 구축 기반의 능력을 함양, 필요 시 ERP 정보 관리사 자격 취득이 가능함
14.SMART 공장 품질 생산관리 시스템 전문가 배출
15.현장 맞춤형 품질·생산 관리 전문인력 양성
16.SMART 공장 운영 인력 수준 향상으로 고용 안정 강화
17.제조 현장에서 실시간 생산 현황, 공정 제어, 물류 및 작업 이력 추적, 품질 관리 등 MES구축에 대한 전반적 사항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다.
18.Smartfactory 구축을 통해 발생하는 정형, 비정형 대용량 데이터의 분석과 시각화를 통해 Quaility, Cost&Delivery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